하지만 이감 기업부설연구소에는 한 명 만이 근무하고 있었고, 이 한 명도 누구이며, 무엇을 하는지조차 내부에서 알고 있지 않았다. 본 매체는 지난 7월 초, 내부 제보자 A 씨로부터 이와 관련된 제보를 받고, 가장 먼저 이감 기업부설연구소 현황 파악을 시도했다.
본 매체는 7월 4일과 5일·6일·7일 그리고 7월 10일까지 수차례에 걸쳐 이감 부설연구소에 전화를 걸어 담당자를 찾았다. 하지만 5명이 근무하고 있어야 할 이들은 연결조차 되지 않았고, 경영지원팀으로 항상 연결됐다. 그리고 경영지원팀 관계자들은 “담당자가 부재중”이라는 말만 십여 차례 반복했다.
7월 10일 십여 차례 연결 끝에 이루어진 경영지원팀 관계자는 본 매체에 놀라운 사실을 밝혔다. 관계자는 ‘연구소 전문연구요원들과 연결이 안 된다. 연구소에 몇 명이 근무하고 있나? ‘라는 본 매체 질의에 “연구소에는 한 명만 근무하고 있다”라며 “연구소에는 따로 전화가 없어 경영지원팀으로 연결된다”라고 덧붙였다. 관계자는 ‘왜 전화가 없는 것인가’ 라는 질의에 “한명 만 근무하고 있어 그렇다”라고 재차 밝혔다.
병역법상 5명의 이공계 전문 연구 요원이 근무해야 하는 이감 기업부설연구소에 한 명만이 근무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뿐 아니라 이마저도 누구인지, 출근은 하고 있는지 확인조차 되지 않았다. 병역법을 알고 있을 리 없는 경영지원팀 여직원이 이감 부설연구소가 위법사실을 저지르고 있음을 알려준 것으로 본 매체에 제보한 A 씨의 증언을 뒷받침했다.
병역법 위반은 조세 포탈 혐의로 연결된다. 먼저 기업부설연구소가 설립되면 세금 감면 혜택을 받는다. 국세청 고위 관계자는 “연구인력개발비 세액공제라고 해서 부설연구소를 만들고 연구개발 전담인력을 지정해 연구개발 활동을 하면 관련 비용의 일정 비율을 세액 공제해 준다”라며 “조세특례제한법 10조에 따른 조치”라고 밝혔다.
중소기업 관련 컨설팅을 해주는 업체 관계자는 “기업부설연구소가 병역 특례업체로 선정되면 한 명만 받던 세금 혜택이 5명으로 늘어난다”라며 “5명의 월급 25%까지 세액 공제받을 수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세액공제 이외에도 연구소 자산 취득에 대해 50% 취·등록세 감면과 연구기자재 구입에 대한 세제혜택이 가능하며, 중요한 것은 R&D 예산(국가 연구개발 예산)도 뽑을 수 있다 “라고 덧붙였다.
방점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찍힌다. 2023년 기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은 30조를 넘어섰고, 과학기술 정부통신부에 배정된 예산만 18조 8686억 원이다. 대형 입시학원들이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노리고, 부설연구소를 만들어 병역 특례업체로까지 선정받은 정황이었다.
제보자 A 씨는 이와 관련 “(연구소가) 모집공고를 따로 하지 않았고, 근무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알 수 없다”라고 거듭 밝혔다. 2-3개 층만 쓰는 규모가 그리 크지 않은 사교육 업체 연구소의 현황뿐 아니라 연구 요원 얼굴조차 본 적 없다는 것이다.
이는 이감이 꼭 대체 복무를 시켜야 하는 사람을 등록시키고, 세금까지 포탈까지 하고 있는 정황으로 이 부분은 이제 검찰과 경찰의 수사 영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본 매체는 이감 김봉소 고문에게 ①2020년 이감 부설연구소가 병역 특례업체로 선정된 배경과 ②과학 기술 정통부의 추천을 받아 병역 특례업체로 선정되었는데, 이를 신청한 근거뿐 아니라, ③ 이들 연구 요원들을 공모를 거치지 않고 어떻게 모집한 것인지 와 ④연구소 근무 인원들이 몇 층에서 일을 하며 ⑤복수의 내부자들에 따르면 한 명만 근무한다고 하는데 어떻게 된 것인지 ⑥ 前 수능 출제위원들로부터 문제를 받아 이를 교재로 만들어 수험생들에게 판매한다는 광고 문구를 이감 홈페이지에서 삭제한 이유와 ⑦공정위에 조사받고 있는 구체적 혐의, ⑧대성 학원의 종속기업 여부, ⑨김경수 전 경남 도지사와의 친분 관계 ⑩그리고 운동권 당시 수배 혐의뿐 아니라 ⑪임종석 전 비서실장과의 관계에 대해 질문을 던졌지만, 그는 사실상 답변을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