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와 이집트 정부와의 K-9 등의 무기 계약에 대해 SBS는 한화그룹의 방산 계열사 관계자조차 “대통령 순방 실적을 위해 K-9을 갖다 바쳤다”라고 혹평할 정도였다고 보도했다. 인터뷰 시기는 대통령의 이집트 방문이 있었던 1월부터 실제 본 계약이 체결된 2월 1일 이전, 이집트와 한화의 가격 협상이 이루어지던 시기로 추정된다.
수출입은행의 대출에, 자주포 현지생산, 거기에다 가격까지 후려쳐 “정권 바뀌면 감사원 감사로 후환을 치를 것”이라는 우려가 한화 내부로부터 나온다는 내용도 뒤따랐다.
본 매체가 주목한 부분은 채찍과 당근 부분이었다. 한화가 악조건을 감내하도록 조율하는 과정에서 정부가 채찍과 함께 ‘가려운 데를 긁어주는’ 당근을 제시했지만 그 당근이 무엇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라고 보도한 부분이다. 한화가 이집트 정부와 방산 계약을 하면서 문재인 정부로부터 받은 채찍이외에도 당근이 있었다는 것이다.
이 보도와 관련해 한화는 SBS를 상대로 정정보도 청구 소송을 진행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방사청 관계자로부터 확인했다. 한화 그룹의 이미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보도에 반응하지 않은 것이다. 이는 이집트 K-9 등의 무기 계약에 한화 김승연 회장만 알 수 있는 이면 계약이 있었던 게 아니냐는 합리적 의심이 가는 부분이다.
본 매체는 한화 측에 북한과 오라스콤의 거래 내용을 김승연 회장이 인지하고 있었는지와 함께 SBS를 상대로 정정보도 청구를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질의했지만 한화는 이에 대해 사실상 답변을 거부하고 있다.
본 매체가 취재를 이어오는 과정에서 정부가 한화에 제시한 당근으로 추정되는 부분에서 한국수출입은행이 또다시 등장한다. 우연인가. 한국 수출입 은행이 최대 주주로 있는 KAI를 민영화해 한화가 인수한다는 보도가 뒤따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교감이 이뤄진 부분으로 추정되는 이 거래에 대해 한화와 KAI는 정정보도 요구를 하는 등 반발했지만, 취재 결과 결은 달랐다.
엄동환 방사청장은 13일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정의당 배진교 의원이 한화가 대우조선해양 인수에 이어 KAI까지 인수하면, 육해공 방산의 독점이 우려된다는 점을 전달하자 “독점의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라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방사청 관계자는 ‘방사청장의 당시 국감장 답변을 보면 한화의 KAI 인수를 배제하지 않겠다는 의미로 보이는데 어떤가’라는 본 매체 질의에 “그렇게 해석해 달라”라고 밝혔다. 한화의 KAI 인수에 대해 방사청은 부인하지 않고 있을 뿐 아니라,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이집트와 체결한 관련 계약들의 대출과 EDCF, EDPF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는 수출입 은행장의 이력도 주목된다. 당시 수출입은행장은 현재 윤석열 정부의 국무조정실장인 방문규다.
방문규 실장은 2007년 문재인 전 대통령이 노무현 정부 비서실장이던 시절에 비서실에서 함께 근무했다. 당시 이례적으로 문재인 전 대통령의 이집트 순방에 동행해 10억 달러의 새로운 EDCF 양해 각서 체결장에 등장한다. 이집트 측에서는 국제협력부 장관이 나왔는데, 우리도 기재부 장관이 나가야할 자리였다는 평가다. 그만큼 방문규 전 실장의 역할이 상당했다는 반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