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매체는 소식통을 통해 북한의 대남 공작을 총괄하는 정찰총국이 국내법을 피하기 위해 어떻게 조선족 사업가들을 이용해 정치인을 포섭하고 대북 송금을 이끌어 내는지를 파악했다.
소식통은 이와 관련 “북한의 대남 공작 부서들은 국회의원들과 지방 자치단체장 포섭에 집중했다”라며 “중국 국적인 조선족 사업가들은 남포와 평양 근교에 기름(식용유) 공장 등을 가지고 있어,(이를 이유로 자유롭게) 북한을 오고 가며, (북한으로부터) 지령을 받아, 한국에서 사람들을 만났다”라고 구체적으로 밝혔다.
문제는 국정원이다. 현재 국정원의 대북 정보 수집 능력에는 상당한 의문이 제기된다. 국정원은 올해 초 일본의 요미우리 신문이 보도해 논란이 된 리용호 전 외무상의 처형설과 관련해 “숙청은 됐지만 처형은 확인되지 않았다”라고 국회에서 밝혔다. 리용호 처형과 관련해 정보 수집의 한계를 보인 것.
국정원이 문재인 정부를 거치며 휴민트가 붕괴됐다는 세간의 분석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관련 정보 획득에 실패했음을 자인한 것이다. 대북 공작이 생명인 국정원의 수장이 북한의 요구에 의해 임명되고, 국정원장 재직 중 성병까지 걸린 박지원 전 국정원장의 사례를 보면 이해 못 할 부분은 아니다. 하지만 정권이 바뀐지 해를 넘겼음에도 국정원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대공 수사권의 복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실은 윤석열 정부의 책임이라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