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화영·정진상, 심양에서 대남 공작 라인과 수차례 만남 확인

·쌍방울 김성태 전 회장, 돈에 눈먼 깡패들이 대남 공작에 걸렸나

·북한의 간첩단은 중국 국적의 조선족 사업가들

·국정원 주요 기능 복원 시급하다

2023.01.12 22:47 수정23:04

북한 대남공작 당국이 이화영 경기도 평화 부지사와 정진상 전 민주당 대표실 실장을 포섭하고, 이를 통해 쌍방울 김성태 전 회장으로부터 대북 송금을 이끌어 냈다고 정통한 대북 소식통이 밝혀 파장이 예상된다.

소식통은 이와 관련 “이재명이 성남 시장이던 2010~2011년 조선족 사업가를 통해 이화영과 정진상을 한국에서 집중적으로 만났고, 포섭된 이화영과 정진상은 (중국) 심양까지 수차례 방문해 (북한의) 대남 공작 관계자들을 만났다”라고 확인했다.

소식통은 ‘언제부터 언제까지 만난 것인가’라는 질의에 “이재명이 성남 시장이던 2010~2011년부터 경기도지사 시절 초기까지”라고 밝혔다. 소식통의 전언대로라면, 이화영 전 부지사와 정진상 전 실장이 북한의 대남 공작 관련자들과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접촉을 했다는 것이다. 소식통은 ” 그 이후 만남은 확인하지 않았다”라고 부연했다.

▲ 이재명 대표가 2018년 11월 북한측 인사인 리종혁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아태위) 부위원장의 한국 방문 당시 만찬장으로 함께 향하던 당시의 모습(좌로부터 이재명 대표, 이해찬 전 대표, 이화영 전 평화 부지사. 우측 사진은 리종혁과 이재명 대표). 당시 리종혁 부위원장은 경기도에 위치한 판교 테크노밸리 일대를 둘러보고 이해찬 전 대표와 20분간 단독 면담을 한 것으로 알려진다. 본 매체는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의 대북 송금(640만 달러가량)이 리종혁 부위원장의 한국 방문 이후인 2019년 1월에 이뤄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소식통은 ‘김성태도 이 라인을 통해 북한 관계자들을 만나고 대북 송금이 이루어진 것인가’라는 본 매체 질의에 “김성태는 이들을 통해 만났다. 대북 송금도 모두 연결돼 있다”라고 밝혔다. 다만 “이재명은 절대 앞에 나서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소식통의 전언을 종합하면, 지난 10일 태국에서 검거된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과 현재 해외 도피 중인 KH 그룹 배상윤 회장의 자금이 어떤 경로를 통해 북한으로 흘러간 것인지 알 수 있는 정황으로, 돈에 눈이 먼 깡패들이 북한의 대북 사업을 미끼로 한 대남 공작에 걸려 들었다는 분석이다.

검찰은 2019년 1월 쌍방울 그룹이 640만 달러를 북한에 보내기 위해 중국으로 밀반출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소식통의 전언에 따르면 이 돈은 빙산의 일각이라고 밝히고 있다. 김성태 전 회장이 한국으로 송환되면 이에 대한 집중 수사가 요구된다.

이 사실은 지난 해 본 매체가 보도한 ‘대남 사이버 공작 정교해지고 있다…’는 기사에서 언급한 “북한이 조선족 사업가를 통해 국회의원 특히 이재명, 김두관 후보 등을 만났다”라는 보도 내용을 재차 확인하는 것이다.

관련 기사 

본 매체는 오랜 기간 동안 이재명 대표를 추적해왔고, 김성태 전 회장이 체포되고 송환이 이루어진다는 발표 이후 적절한 시점이라 판단되어 보도를 내보낸다.

국정원과 경찰이 국회의원 보좌관 A가 서울 시내에서 직접 북한에 난수표(암호문) 보고를 하고, 방산기업과 연구실이 집중되어 있는 창원에 간첩단이 있었다고 밝힌 사실들은 대한민국 사회가 평화라는 단어에 젖어 어떤 상황에 처해 있었는지 알 수 있다는 평가다.

관련 사진 

북한의 실제 난수 방송 

“지금부터 27호 탐사 대원들을 위한 원격 교육대학 수학 복습 과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문제를 부르겠습니다. 459 페이지 35번 913 페이지 55번……”

▲ 북한 대남 부서가 2016년 7월 29일 한국에 파견된 대남공작원들과 고정간첩(Sleeper Agent)들에게 보낸 실제 난수 방송을 한국에서 받아 적은 내용. 당시 한국의 정보 당국은 암호 해독에는 실패했다. 하지만 본 매체는 당시 난수방송의 내용을 대북 소식통으로부터 확보했었다. 본 매체가 이를 일부 공개하는 것은 대한민국 곳곳에 대남 공작원 뿐 아니라 북한의 고정간첩이 숫자를 셀 수 없을 만큼 많다는 사실을 각인시키기 위함이다.

북한의 간첩단은 조선족 사업가들… 국정원 주요 기능 복원 시급하다

본 매체는 소식통을 통해 북한의 대남 공작을 총괄하는 정찰총국이 국내법을 피하기 위해 어떻게 조선족 사업가들을 이용해 정치인을 포섭하고 대북 송금을 이끌어 내는지를 파악했다.

소식통은 이와 관련 “북한의 대남 공작 부서들은 국회의원들과 지방 자치단체장 포섭에 집중했다”라며 “중국 국적인 조선족 사업가들은 남포와 평양 근교에 기름(식용유) 공장 등을 가지고 있어,(이를 이유로 자유롭게) 북한을 오고 가며, (북한으로부터) 지령을 받아, 한국에서 사람들을 만났다”라고 구체적으로 밝혔다.

문제는 국정원이다. 현재 국정원의 대북 정보 수집 능력에는 상당한 의문이 제기된다. 국정원은 올해 초 일본의 요미우리 신문이 보도해 논란이 된 리용호 전 외무상의 처형설과 관련해 “숙청은 됐지만 처형은 확인되지 않았다”라고 국회에서 밝혔다. 리용호 처형과 관련해 정보 수집의 한계를 보인 것.

국정원이 문재인 정부를 거치며 휴민트가 붕괴됐다는 세간의 분석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관련 정보 획득에 실패했음을 자인한 것이다. 대북 공작이 생명인 국정원의 수장이 북한의 요구에 의해 임명되고, 국정원장 재직 중 성병까지 걸린 박지원 전 국정원장의 사례를 보면 이해 못 할 부분은 아니다. 하지만 정권이 바뀐지 해를 넘겼음에도 국정원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대공 수사권의 복원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현실은 윤석열 정부의 책임이라는 지적이다.

관련 기사 

본 기사 내용을 인용할 경우 프리덤 앤 라이프(Freedom And Life)로 출처를 표기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