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유력 시사 주간지인 이코노미스트(Economist)는 인플레이션이 상당 기간 이어질 뿐 아니라, 그 이후의 경기 침체에도 대비해야 한다고 16일(현지 시각) 밝혔다. 매체는 특히 정권 교체 기간에 경기 침체를 두려워해 인플레이션을 용인하면 더 큰 피해로 돌아올 수 있다며 정치적 정책 결정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전했다.
이코노미스트는 ‘Inflation will be harder to bring down than markets think’ 라는 제목의 보도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미국과 전 세계 시장 참여자들이 골디락스 경제와 같은 낙관론에 빠져 있다”라고 우려하며 “시장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을 끝내지 않았고, 끔찍한 조정을 받을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매체는 이와 관련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미국의 핵심 물가(근원 물가)는 지난 3개월 동안 연 4.6% 상승했고, 인플레이션의 주요 원인이 되는 임금 상승률이 중앙은행이 설정한 인플레이션 목표치인 2% 보다 휠씬 높다”라는 점을 주요 근거로 들었다.
이코노미스트는 “1969년 이후 최저치에 달한 미국의 실업률”을 지적하며, 낮은 실업률은 금리 인상 기조를 유지할 촉매제임을 분명히 했다. 매체는 그러면서 “최근 채권 투자자들이 중앙은행들이 금리를 인하하지 않고, 높게 유지하는 쪽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라고 부연했다.
이날 이코노미스트 보도의 정점은 경기 침체와 정권 교체기 중앙은행의 정치성에 맞춰졌다. 매체는 먼저 “역사는 긴축이 끝날 무렵 강력한 성장을 예측했지만, 경기 침체가 닥칠 뿐이었다”라며 1970 년 대 이후에 발생한 경기 침체의 역사적 반복성에 주목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이어 “중앙은행들이 정권 교체기에 경기 침체를 두려워해 인플레이션 목표치 초과를 허용할지도 모른다. 1970년 대, 통화 정책에 대한 명확성 부족은 결국 ‘대중’과 ‘투자자’ 모두에게 피해를 입혔다”라며 중앙은행의 정치적 관여에 우려를 던지며 글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