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06 11:53

북한이 사업권을 대가로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으로부터 최소 900만 달러 이상의 돈을 갈취한 것으로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북한 대남공작 당국과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한 몸처럼 움직인 정황이 나타나 본 매체의 보도를 뒷받침하고 있다.

관련 기사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은 2019년 5월 중국 심양에서 북한 민족 경제협력연합회(민경련) 관계자들을 만나 북한이 ①원산 갈마지구 리조트 건설 ②북한 전력 공급 사업 참여 ③희토류 매장지 개발 사업권 등을 쌍방울 계열사 3곳에 보장한다는 내용과 쌍방울이 북한에 1억 달러를 제공한다는 협약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쌍방울의 대북송금 의혹을 수사 중인 수원 지검 형사 6부(부장검사 김영남)는 최근 김 전 회장으로부터 이 같은 진술을 확보했다.

당시 김 전 회장은 협약 체결을 앞두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풀릴 기미가 없다 보니 협약 체결에 주저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김 전 회장의 이 같은 우려에 이화영 경기 부지사는 “이 지사(이재명)가 대통령이 되면 대북제재가 풀리고 남북 교류도 활성화될 거다. 이 지사가 잘되면 쌍방울도 대기업이 될 수 있는 것 아니냐”라고 설득했다는 것이다. 이 전 부지사는 이어 “쌍방울은 500만 달러가 아니라 5000만 달러라도 베팅해야 하는 것 아니냐. 5조, 10조 원으로 되돌아올 가능성이 있다”라며 김 전 회장을 종용했다는 것이다.

김성태 전 쌍방울 회장은 북측과 1억 달러 협약을 조율하면서 주요 내용을 경기도에 사전 보고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회장의 최측근인 방용철 쌍방울 부회장(구속)은 최근 검찰 조사에서 “협약이 체결될 무렵 ‘우리(쌍방울)가 이 정도 사업권을 따내는데 (북한에) 1억 달러 정도를 투자할 수 있다’라는 주요 내용을 경기도에 보고했다”라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진다.

이 사건은 북한과 경기도가 하나가 되어 깡패들이 쌓아 올린 조폭 집단의 돈을 갈취해간 코미디 같은 사건으로 요약 가능하다. 김성태 전 회장도 현재 북한과 이재명 대표에게 기망 당했다는 사실을 느끼고 검찰에 모든 것을 털어놓고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다만 이재명 대표는 6일 최고위원회에서 “검찰의 신작 소설이 완성도가 너무 떨어진다”라며 “쌍방울 측의 대북 로비 사건은 온 국민의 관심사일 뿐 아니라 매우 중요한 일인데 거기에 무관한 경기도와 이재명을 왜 관여 시키나”라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구체적 해명은 내놓지 않고 있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