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구속 배후는 ‘국제 사회’와 ‘상식’… 국가 정상화 필요하다

Freedom And Life Opinion

2022.12.06 12:42 수정 17:40

서훈 전 국가안보실장이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이 발생한지 2년 3개월여 만에 구속됐다.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은 본 매체가 보도한 대로 김정은의 지시에 의해 북한군으로부터 피살·소각 처리된 이대준씨를 문재인 정부가 자진 월북 사건으로 몰아가기 위해 주요 정보를 삭제하고 조작한 혐의를 받는다. 서울 중앙지법 김정민 영장 전담판사(49·사법연수원 29기)는 범죄의 중대성과 지위 등을 고려할 때 증거인멸 염려가 있다며 서훈 전 실장의 구속 영장을 발부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이 서훈 전 실장에 대해 발부한 구속영장은 문 전 대통령의 압박에도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 않고 법리적 판단만 내렸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당시 본 매체 취재를 종합하면,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은 ①문재인 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의 지시에 의해 이대준씨가 피살·소각 처리된 사실을 SI 정보를 통해 보고받고, ②SI 정보 내용이 전체 공개되면 남북 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을 판단해 ③ 당시 문재인 청와대가 조직적으로 관련 정보를 삭제하며 조작에 나선 사건으로 요약할 수 있다.

관련 기사 

문재인 전 대통령은 4일 법원이 서훈 전 실장에 대해 구속 영장을 발부하자 “서훈 실장은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정부의 모든 대북 협상에 참여한 최고의 북한 전문가, 전략가, 협상가”라고 그의 페이스북에 밝혔다. 임종석 전 비서실장도 “정치보복의 배후는 윤석열 대통령”이라고 밝히며, 문 전 대통령을 향할 검찰의 칼 날을 꺾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 사건은 발생 초기부터 미국 등 국제사회와 국제 인권 단체들이 당시 문재인 정부가 남북 관계를 위해 한 사람의 인권유린 뿐 아니라 가정을 파탄 낸 사건으로 의심하고 외교적 결례를 감수하면서까지 진상 규명을 요청했던 사안이었다. 이 사건의 배후를 굳이 따지자면 ‘국제 사회’와 ‘상식’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문 전 대통령은 당시 통지문을 통해 거짓 사과한 김정은에 대해 SI 정보 내용을 보고받고도 긍정 평가하는 등 인간의 탈을 쓰고 상식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기도 했다. 서욱 전 국방부장관과 김홍희 전 해경청장은 당시 문재인 정부 청와대의 지시에 의해 정보를 삭제하고 조작했음을 시인해 불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고 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이들의 시인으로 인해 상당한 압박감을 느끼고, 대응에 나선 것으로 관측된다.

검찰의 칼 날은 이제 “판단을 승인했다”라며 지시 여부를 인정한 문재인 대통령을 향해 깊은숨을 돌리는 형국으로 접어든 모양새다. 하지만 대통령제 국가에서 안보실장이 주도해 정보 삭제와 조작을 승인하고 지시했다는 것은 상식에 어긋난다. 검찰은 문재인 대통령이 서훈 전 실장 등으로부터 어떤 보고를 받고, 어떤 판단에 따라 지시를 내렸는지에 대한 구체적 내용들을 육하원칙에 따라 밝히는데 수사력을 집중해 국가 정상화에 나서야한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