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개유호로 독재체제 완성한 중국… 미·중 신냉전 가열

· 홍콩 증시의 폭락… 미래 중국 경제 모습 투영

2022.10.25 18:35 수정 19:25 update 2022.10.28 10:08

22일 중국공산당 제20차 전국 대표회의(당대회)가 시진핑 독재 체제를 확인하며 막을 내렸다. 당대회 폐막 이후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양개유호(兩個維護)라는 표현이 삽입하는 당장(黨章·당헌)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부분이다.

양개유호는 당의 핵심으로서 시진핑 총서기의 핵심지위 및 전당 핵심 지위, 그리고 당 중앙의 권위와 집중 통일 영도를 결연히 수호한다는 의미다. 

셰마오쑹 칭화대 국가전략 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이와 관련 “당장(黨章) 개정에는 시진핑 주석의 정치 사상을 다듬어 삽입하고 무엇이 시주석의 통치에 우선인지를 나타내는 몇 가지 핵심 개념이 포함될 것”이라며 “경제·법치·외교·안보 등에 대한 시주석의 생각이 모두 당장에 추가될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당장(黨章·당헌) 개정안은 당 주석제를 부활시킬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조치라는 지적이다. 당 주석제는 모택동 시대 표출되었던 권력 집중의 폐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등소평에 의해 1982년 폐지된 제도다. 하지만 시진핑은 주석제를 부활시켜 정치국 상무 위원회 중심의 집단 지도체제를 폐지하고, 일인 독재의 단일 지도체제를 공식화해 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또한 ‘양제’로 대표되는 홍콩의 독자적 시스템 유지보다는 일국에 내포된 중국의 홍콩 통치권과 대만 독립 반대를 명분화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대만 침략을 감행할 것으로 보여 이 지역에서의 미·중간 신냉전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 당대회 현장의 하이라이트였던 후진타오의 퇴장은 중국이 마주할 정치적 분열상을 투영한다. 코로나19 사태 등으로 최근 주민들의 인내심이 한계점을 넘어서고 있는 상황에서 7인 상무위원에 단 한 명도 포함되지 못한 상하이방과 공청단의 불만은 춘추전국시대와도 같은 정치적 혼란을 낳을 것으로 관측된다.

중국 공산당 20 차 당대회 주요 내용 

·중국의 9671만 명이 넘는 공산당원을 대표하여 향후 5년간 중국을 이끌어 갈 중국 공산당 권력의 정점인 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중앙 정치국원 24명(상무위원 포함) 중에서 7명을 선임하여 구성했다.

·중앙정치국 상무위원 7명에는 시진핑의 최측근 6명(시진핑 포함 7명)이 포함됐고, 차기 총서기와 국가 주석으로 시진핑이 선출됐다(중앙정치국 상무위원으로는 시진핑 국가주석,리창 상하이 당서기, 자오로지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왕후닝 중앙서기처 서기, 차이치 베이징시 당서기, 딩쉐샹 중앙판공청주임, 리시 공동성 당서기).

· 당 중앙위원회와 중앙기율 검사위원회 등이 제출한 업무 보고를 심의하고 당장(黨章·당헌)개정안 등을 처리했다. 당장(黨章·당헌)개정을 통하여 시진핑 총서기의 3연임을 결정했으며, 양개유호(兩個維護)라는 표현이 삽입하는 당장(黨章·당헌) 개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중국의 정치 리스크는 시장(Market)으로 이식(移植) 되고 있다. 시진핑 일인 독재 체제가 완성된 다음 날인 24일 홍콩 주식시장은 7% 가까이 폭락했고, 지난 2009년 글로벌 위기 때를 벗어났을 때의 2013년 저점도 연일 갱신하고 있다. 홍콩 증시의 폭락은 시장 참가자들이 홍콩 증시에 대해 사망 선고를 내린 것으로, 미래 중국 경제의 모습을 투영했다는 분석이다.

▲홍콩 증시의 이날 폭락은 단순한 폭락이 아니라 지난 2009년 글로벌 위기 때를 벗어났을 때의 2013년 지지선을 깨고 내려가는 것으로, 시장 참가자들이 더 이상 홍콩 증시를 자유시장경제체제로 인정하고 있지 않다는 반증이다. 

중국 발 리스크는 아시아 리스크로 전이되려 하고 있다. 상하이 외환시장에서 25일 중국 위안화 가치가 그동안 심리적 지지선으로 알려진 달러당 7.3 위안을 돌파했고, 엔화 또한 엔달러 환율이 148엔대에 재진입했다. 상하이 증시는 중국 정부가 개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3천 선을 연일 위협하며, 투매 현상까지 나타나고 있다.

아시아 화폐 가치의 급락은 본 매체가 이미 지난해부터 지적한 대로 스태그플레이션을 더욱 가속화 시킬 것이란 분석이다. 수출 주도형 국가인 한국 경제가 이 위기의 폭풍우 속을 잘 건너기 위해서는 본 매체가 이미 제안한 부분뿐 아니라 ‘환율’과 ‘채권’에 대한 한미 간 정책 조율을 더욱 세밀화해 시장 변화에 대응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