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위협에 대한 한·미의 대응도 빨라지고 있지만 핵 억제의 영역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는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미국 워싱턴에서 16일 개최된 한미 외교국방 차관급 고위급 확장억제전략협의체(EDSCG) 회의에서는 “북한의 어떠한 핵 공격도 전례 없이 압도적이고 결정적으로 대응한다”라고 다소 진전된 내용을 발표했지만, 기존 발표 내용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북한이 7차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도발을 감행하면 단호히 대응 하겠다며 3대 핵전력 즉, 전력 폭격기, 항공모함, 핵잠수함을 전개하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이는 문재인 정부 때 중단한 내용을 재개하는 수준이라는 평가다.
우크라이나 사태를 겪으며 한반도의 지정학적 문제는 남·북 간의 문제에서 중국과 러시아에 의해 점증되는 지역의 안보 위협에 대응해야 하는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푸틴과 시진핑을 그대로 답습하는 호전적 지도자인 김정은의 침략 본능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한미 동맹은 나토(북대서양 조약 기구· NATO) 식 핵공유를 통한 군사 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핵은 대응의 영역이 아니라 억제의 영역이다. 핵에는 핵으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핵위협에는 핵 배치를 통해 억제해야 한다. 미국은 왜 유럽과는 핵 공유를 하면서도 동북아에서는 불가능한 것인지 그 이유를 동맹국인 한국 국민들에게 설명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