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는 현재 이외에도 6.25 국군 포로, 민간인 납북자, 납북어부, KAL기 납북자 등 약 10만 명이 억류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북한 인권 문제는 그 심각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유하면서도, 정작 남·북, 미·북 회담이 있을 때에는 북한에 대한 기선 제압용으로 인권을 다루었을 뿐 비핵화, 경제협력, 군사협의 등에 밀려 정식 의제로 테이블에 올린 경우는 단 한 번도 없었다.
2010년 이후 북한 인권 문제가 대중적 관심 사안으로 급부상하며 UN 차원에서 지속적인 문제 제기를 이어 오고 있지만, 한국 정부는 언론들의 지적이 있을 때마다 관심을 기울이는 산발적 움직임에 그치고 있다. 특히 인류 보편적 가치인 인권에 대한 시각이 정치적 성향에 따라 변하는 것은 국격(國格)과도 관련되는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국제 인권 단체들을 중심으로 표출되고 있다.
남·북, 미·북 사이에는 난해한 정치적 고차 방정식이 존재하지만, 한국 정부도 미국 정부처럼 북한 정권에 대한 허구성을 폭로하고, 김정은 정권의 거짓된 실체를 북한 주민들이 자각하는데 노력하는 북한 관련 단체들에 꾸준하게 후원(後援) 하는 방법으로 목소리를 높여 나가야 한다.
북한 인권 문제를 지적할 때 탈북민들에 대한 관심뿐 아니라 그들과 북한 주민들을 돕는 국민들에 대한 관심도 중요하다는 지적들도 대두된다. 북한에 억류 중인 김정욱 선교사를 포함한 6명에 대한 생사 여부와 함께 북한에 억류된 사람들에 대한 한국 정부 차원의 석방 노력은 궁극적으로 북한 안에 갇힌 2,000천여 만 명의 북한 주민 전체를 품는다는 의미로서 우리는 그 일을 지금 당장 시작해야 한다.
북한 주민에 대한 인간의 존엄성을 회복하는 것에 우리의 시선이 맞춰져야 하는 것은 평화적 통일과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정부 차원에서 북한 인권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 제기는 북한 체제의 변화를 추동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남과 북 주민 스스로가 통일을 원하는 계기로 치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제 사회 공조를 통한 일관된 정책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