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과의 경쟁 관계에서 자유민주주의 국가들과 동맹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접점이 없다는 비판에도 대응했다는 분석이다. 미국이 새로운 국제 질서 재편을 위한 동맹의 참여와 미국을 다시 재건하기 위해 인권문제를 넘어선 제노사이드를 통한 ‘선명성(鮮明性) 경쟁’이라는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동맹의 대상에는 문재인 정부도 예외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국제사회는 문재인 정부에게도 중국과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의무인 보호 책임(Responsibility to protect:R2P)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변수도 존재한다. 얼마 전 이코노미트스트는 중국 정부가 가장 극악 무도한 제노사이드를 저질렀다는 신호를 바이든 정부가 계속 보내고 있지만, 지구온난화, 코로나 팬데믹, 무역 등에 대해서도 동시에 대화 신호를 보내는 것은 정치적 수사에 그칠 수도 있음을 지적하기도 했다.